Category

Algorithm

프로그래머스 Lv3 표 병합

5 분 소요

질문하기 탭을 보니 union-find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했다는 내용이 많이 보이던데, 따로 알고리즘을 알지 않아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 무식하게 시행착오를 잔뜩 겪으며 문제를 풀었다. 풀고 나서 알고리즘을 찾아보니 내가 푼 방식하고 결국 같은 방식이라 뿌듯...

프로그래머스 Lv2 양궁대회

4 분 소요

문제가 어렵다기보다는 요구사항이 많아 신경쓰지 못해 실수가 계속 나와 한참을 헤멨던 문제이다…

프로그래머스 Lv2 도넛과 막대 그래프

1 분 소요

문제에 도넛 모양 그래프, 막대 모양 그래프, 8자 모양 그래프들에 대한 소개가 주어지고, 생성된 임의의 점에서 각 그래프들을 이었을 때, 생성된 정점의 번호, 도넛 모양 그래프의 개수, 막대 모양 그래프의 개수 8자 모양 그래프의 개수를 순서대로 배열에 넣어 리턴하는 문제였다.

맨 위로 이동 ↑

Spring & Spring boot

MyBatis 활용하기

3 분 소요

스프링에서 MyBatis를 활용하기 위해 Maven 프로젝트의 pom.xml에 다음의 내용이 먼저 세팅되어 있어야 한다.

스프링 빈 객체 생성 방법

1 분 소요

스프링의 모든 객체는 Bean 객체로 다루어지며, 이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스프링 DI 설정하기

1 분 소요

스프링 DI 패턴에 사용되는 Bean 객체의 값을 설정하는 방법들을 알아보자.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주요 특징

2 분 소요

mvnrespository.com에서 spring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스프링에 필요한 수많은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 위로 이동 ↑

TIL

Monthly I Learned(2024.4)

최대 1 분 소요

중간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제대로 된 협업을 처음 경험해보고 있다.

Monthly I Learned(2024.3)

1 분 소요

3일간의 연휴를 쉬고, 4일부터 3월의 일정을 시작했다. 동기들이 학교를 가는 시간에 휴학을 하고 공부를 하는 만큼,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마음을 다잡았다.

Monthly I Learned(2024.2)

1 분 소요

요즘 10시부터 20시까지 하루 종일 코딩을 하고 있는데 그날의 배운 점을 정리하는 TIL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나도 이번 달부터 매일 배운 점을 기록해 성장해나가는 개발자가 되고자 한다.

맨 위로 이동 ↑

DBMS

Oracle DBMS(1)

1 분 소요

📖 cmd창에서 DBMS 접속하기

맨 위로 이동 ↑

Javascript

javascript 환경에서 python 실행하기

2 분 소요

react와 springboot를 활용하여 restful api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려는 상황에서, 파이썬을 통해서 크롤링을 하게 된 상황이다. node 서버에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Javascript 화살표 함수와 this

2 분 소요

React를 공부하고 있는데, Render()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콜백함수를 밖에 따로 정의해주려는데, 화살표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형으로 선언을 하게 되면 this가 달라져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화살표 함수를 사용해야만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Javascript 이벤트(2)

3 분 소요

이벤트를 작성하던 도중 순차적으로 잘 실행되어야만 할 것 같던 스크립트 문에서 자꾸 오류가 나서 그 이유를 찾아보았다.

맨 위로 이동 ↑

React

javascript 환경에서 python 실행하기

2 분 소요

react와 springboot를 활용하여 restful api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려는 상황에서, 파이썬을 통해서 크롤링을 하게 된 상황이다. node 서버에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구구단 예제(1) - 클래스형 컴포넌트 선언

1 분 소요

인프런에 있는 ‘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강좌를 클론 코딩하면서 리액트에 익숙해지기로 했다. 아무리 강의를 들어도 직접 쳐보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Javascript 화살표 함수와 this

2 분 소요

React를 공부하고 있는데, Render()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콜백함수를 밖에 따로 정의해주려는데, 화살표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형으로 선언을 하게 되면 this가 달라져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화살표 함수를 사용해야만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맨 위로 이동 ↑

Github Pages

맨 위로 이동 ↑

Java

추상 클래스 vs 인터페이스

1 분 소요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각각 공부해보아도 차이점을 명확히 설명할 수 없어 찾아본 결과 납득하기 쉽게 정리해 놓은 블로그가 있어 이를 바탕으로 자세히 알아보았다.

맨 위로 이동 ↑

CS

MSA 개념 이해하기

1 분 소요

몇 년 전부터 MSA에 대한 주제가 대두되고 있다고 해서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적용을 시도할 만한지 확인해보고자 했다.

맨 위로 이동 ↑

Servlet & JSP

맨 위로 이동 ↑

Project

맨 위로 이동 ↑

Python

크롤링한 이미지 파일 저장하기

2 분 소요

이미지는 크기가 큰 관계로 파일 자체를 저장하는 게 아니라, 크롤링으로 가져온 이미지의 url만 저장해서 띄워주려고 했었다. 하지만 크롤링한 사이트의 원래 게시물이 사라져버린다면 해당 이미지에 접근할 방법도 사라지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방법을 고민해보게 되었다.

javascript 환경에서 python 실행하기

2 분 소요

react와 springboot를 활용하여 restful api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려는 상황에서, 파이썬을 통해서 크롤링을 하게 된 상황이다. node 서버에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맨 위로 이동 ↑

others

posting practice

최대 1 분 소요

첫 글입니다. 멋진 블로그를 만들어보자! 로컬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적용되는지 확인

맨 위로 이동 ↑

Redis

맨 위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