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3 미로 탈출 명령어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질문하기 탭을 보니 union-find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했다는 내용이 많이 보이던데, 따로 알고리즘을 알지 않아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 무식하게 시행착오를 잔뜩 겪으며 문제를 풀었다. 풀고 나서 알고리즘을 찾아보니 내가 푼 방식하고 결국 같은 방식이라 뿌듯...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문제가 어렵다기보다는 요구사항이 많아 신경쓰지 못해 실수가 계속 나와 한참을 헤멨던 문제이다…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 문제 설명
문제에 도넛 모양 그래프, 막대 모양 그래프, 8자 모양 그래프들에 대한 소개가 주어지고, 생성된 임의의 점에서 각 그래프들을 이었을 때, 생성된 정점의 번호, 도넛 모양 그래프의 개수, 막대 모양 그래프의 개수 8자 모양 그래프의 개수를 순서대로 배열에 넣어 리턴하는 문제였다.
⚙️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 만들기
스프링에서 MyBatis를 활용하기 위해 Maven 프로젝트의 pom.xml에 다음의 내용이 먼저 세팅되어 있어야 한다.
📔 webMVC의 구성요소
📔Controller를 위한 주요 클래스
📘 JdbcTemplate
📚 C3P0
스프링의 모든 객체는 Bean 객체로 다루어지며, 이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스프링 DI 패턴에 사용되는 Bean 객체의 값을 설정하는 방법들을 알아보자.
📖생성자가 있는 객체를 DI pattern을 활용하여 생성하기
mvnrespository.com에서 spring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스프링에 필요한 수많은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클립스에서 maven으로 프로젝트 만들기
🗓️ 25-01-01
🗓️ 24-08-01
🗓️ 24-07-02
🗓️ 24-06-02
🗓️ 24-05-02
중간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제대로 된 협업을 처음 경험해보고 있다.
3일간의 연휴를 쉬고, 4일부터 3월의 일정을 시작했다. 동기들이 학교를 가는 시간에 휴학을 하고 공부를 하는 만큼,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마음을 다잡았다.
요즘 10시부터 20시까지 하루 종일 코딩을 하고 있는데 그날의 배운 점을 정리하는 TIL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나도 이번 달부터 매일 배운 점을 기록해 성장해나가는 개발자가 되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 생명주기
📖Transaction
📖 JOIN
⚠️ Group by절 사용 시 주의점
단일행 함수
📖 cmd창에서 DBMS 접속하기
react와 springboot를 활용하여 restful api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려는 상황에서, 파이썬을 통해서 크롤링을 하게 된 상황이다. node 서버에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React를 공부하고 있는데, Render()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콜백함수를 밖에 따로 정의해주려는데, 화살표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형으로 선언을 하게 되면 this가 달라져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화살표 함수를 사용해야만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이벤트를 작성하던 도중 순차적으로 잘 실행되어야만 할 것 같던 스크립트 문에서 자꾸 오류가 나서 그 이유를 찾아보았다.
📘 이벤트
Callback Function
react와 springboot를 활용하여 restful api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려는 상황에서, 파이썬을 통해서 크롤링을 하게 된 상황이다. node 서버에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 웹팩을 사용하게 된 계기
📔 React Hooks란?
인프런에 있는 ‘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React’ 강좌를 클론 코딩하면서 리액트에 익숙해지기로 했다. 아무리 강의를 들어도 직접 쳐보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React를 공부하고 있는데, Render()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콜백함수를 밖에 따로 정의해주려는데, 화살표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형으로 선언을 하게 되면 this가 달라져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화살표 함수를 사용해야만 하는 이유를 알아보자.
📔 리액트를 왜 쓰는가?
🗓️ 구글과 네이버 검색엔진 등록하기
왜 깃허브 잔디가 안 채워질까❓
❓ 기능 추가 시도 이유
🗓️댓글 기능 추가하기
❓github pages란?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각각 공부해보아도 차이점을 명확히 설명할 수 없어 찾아본 결과 납득하기 쉽게 정리해 놓은 블로그가 있어 이를 바탕으로 자세히 알아보았다.
📖 인터페이스란?
📖 추상 클래스란?
📖 원시 타입(Primitive Type)
몇 년 전부터 MSA에 대한 주제가 대두되고 있다고 해서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적용을 시도할 만한지 확인해보고자 했다.
📘 프로그램 (Static Program)
📘 프로세스와 스레드
💡 값 찾기
📚 JSP란?
⚙️ 이클립스 톰캣 연결하기
📘 서블릿이란?
⚙️ 톰캣 초기 설정하기
기본 경로 설정과 USER API 호출 과정
메인 서비스 로직을 위한 API
뉴스 API 호출 과정
📄 github
https://docs.dgl.ai/guide_ko/graph-graphs-nodes-edges.html
이미지는 크기가 큰 관계로 파일 자체를 저장하는 게 아니라, 크롤링으로 가져온 이미지의 url만 저장해서 띄워주려고 했었다. 하지만 크롤링한 사이트의 원래 게시물이 사라져버린다면 해당 이미지에 접근할 방법도 사라지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방법을 고민해보게 되었다.
📘 웹 크롤링 vs 웹 스크래핑
react와 springboot를 활용하여 restful api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려는 상황에서, 파이썬을 통해서 크롤링을 하게 된 상황이다. node 서버에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첫 글입니다. 멋진 블로그를 만들어보자! 로컬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적용되는지 확인
✅ Redis란?